AI 시대의 도래: 휴머노이드 로봇과 ICT 산업의 미래 전망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10월 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2025 ICT 산업 전망 컨퍼런스'가 열렸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 12개 기관이 공동으로 주관한 이번 행사는 미래 ICT 산업의 주요 이슈와 트렌드를 분석하고 내년의 주요 산업 전망을 논의했다.

서울대 AI연구원장 장병탁 교수는 "AI의 발전이 인간 형태의 로봇, 즉 휴머노이드 AI로 나아가고 있다"며, "이는 물리적 지능, 피지컬 인텔리전스의 실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AI 기술은 정보 처리에 능숙하나 실질적인 세계관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휴머노이드 AI의 확산은 로봇과의 인간적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장 교수가 설명했듯이, 과거에 비현실적이었던 인간형 로봇의 구현이 이제는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이는 하드웨어 및 학습 기술의 진보 덕분이다.

휴머노이드 AI의 도입은 제조업 등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장 교수는 AI를 스마트한 신입사원에 비유하며, 잘 훈련된 휴머노이드 로봇이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튜터링 엔지니어'와 같은 새로운 직업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AI 로봇에게 작업 방식을 가르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임진국 IITP 단장도 연설에서 내년 AI가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기업용 솔루션으로 적극 활용될 것이라 내다봤다. 또한 NPU(신경망처리장치) 시장의 성장을 통해 데이터센터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임 단장은 AI과학자, 양자기술, 사이버보안 등도 내년 주요 ICT 이슈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ICT 산업의 미래에서는 AI 기술의 물리적 세계와의 접촉 및 활용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자체의 발전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한 새로운 직업 시장의 개척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한층 다각화된 산업구조를 기대하게 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AI 기술 발전의 여러 측면을 조명하며, 향후 기술 및 산업 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했다. 이틀간 진행된 다양한 세미나와 토의는 참여자들에게 ICT 산업의 미래를 그릴 수 있는 귀중한 정보를 제공했다.

이 포스트는 피시아(PHYSIA) 사에서 운영하는 게임투비즈(GameToBiz) R&D 블로그에서 작성되었으며,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의 무단 배포 및 수정을 금합니다. 참조 - 피시아(PHYSIA), 게임투비즈(GameToBiz), 게임메이커.KR, 게임S/W에이전시, 저널CTL코리아

Subscribe to 게임투비즈 :: GameToBiz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example.com
Subscribe